최근 연구에 따르면 거북이의 새로운 행동 습관이 밝혀졌다. 새끼 거북이가 얼굴을 닮은 물체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트렌토대학과 런던대학의 연구진이 갓 태어난 사람 아기가 엄마의 얼굴을 쳐다보는 경향이 있는 것처럼 다른 종의 동물들도 비슷한 모습을 보인다고 발표했다.

연구진은 파충류 새끼들이 어미의 얼굴을 닮은 물체를 선호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흰색 바탕에 검은색 사각형 블록을 넣어 파충류 얼굴과 같은 구조물을 만들었다. 그리고 갓 부화한 새끼 거북이 136마리를 이 구조물 주변에 배치했다. 그 결과, 새끼 거북이들은 구조물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었다. 70%의 새끼 거북이가 구조물 방향으로 움직였다. 새끼 거북이들은 어미의 얼굴과 닮지 않은 다른 구조물에 대해서는 선호도를 보이지 않았다.

반사회적 생물인 거북이

연구진은 거북이가 여태까지 반사회적인 생물로 알려져 있었기 때문에 이번 발견이 주목할 만 한 결과라고 말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거북이는 알에서 부화하자마자 혼자 바다를 찾아가고 혼자 살아가는 반사회적인 생물이다. 거북이는 갓 태어난 이후부터 어미의 보호를 받지 않으며 다른 동물 종과도 상호 작용하지 않는다. 하지만 거북이가 어미의 얼굴을 닮은 물체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인다는 것은 거북이의 유전자에도 이런 행동 성향이 담겨 있다는 것이다. 현대 거북이는 약 3,000만 년 전에 나타났다. 거북이의 이런 성향은 과거부터 전해져 내려왔을 수 있다.

어미와 닮은 얼굴을 자연스럽게 선호하는 경향은 병아리나 새끼 원숭이 같은 사회적인 동물은 물론 사람에게서도 관찰됐다. 이런 동물 종은 성장하는 데 어미의 보호가 필요하기 때문에 자연스러운 것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혼자서 알에서 깨어나 혼자서 살아가는 거북이 또한 어미의 얼굴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인 것은 새로운 연구 결과다.

연구진은 실험에 참여한 새끼 거북이들을 사람이나 다른 동물 종의 얼굴 등 각기 다른 구조물이 설치된 4개 영역에 나눠 배치했다.

다른 살아있는 동물과 관련된 신호를 인식하고 이에 반응하는 것은 새끼 동물이 생존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조지아대학의 생태학 명예 교수인 휘트 기본스는 여러 거북이 종이 현재 멸종될 위험에 처해 있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양쯔강에 사는 양쯔강대왕자라의 개체수는 현재 4마리뿐이다. 네손가락거북 또한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이렇게 멸종 위기에 처한 거북이 종을 되찾기 위한 번식 프로그램이 여러 국가 및 조직 내에서 진행되고 있다.

기본스는 "생태계에서 거북이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 인식해야 한다. 거북이는 강이나 호수에서 죽은 물고기를 잡아먹어 생태계를 깨끗하게 유지하는 청소부 역할을 하고, 환경에 해를 끼치지 않는다. 또 거북이가 파놓는 땅굴은 토끼나 살쾡이, 올빼미 등 350여 종의 동물들의 피난처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리서치게이트가 발행한 통계에 따르면, 미국에는 53종의 거북이와 82종의 분류군이 존재한다. 멕시코에는 42종의 거북이와 57종의 분류군이 존재한다. 콜롬비아에는 28종의 거북이와 29종의 분류군, 에콰도르에는 24종의 거북이와 24종의 분류군, 페루에는 15종의 거북이와 16종의 분류군, 중국에는 31종의 거북이와 31종의 분류군, 인도에는 28종의 거북이와 36종의 분류군, 호주에는 25종의 거북이와 29종의 분류군이 존재한다.

야생 거북이가 가장 많이 살고 있는 지역은 북미의 사막지대다. 그 다음으로 거북이의 개체군이 풍부한 지역은 아마존이다. 북미의 사막지대에는 진흙 거북 및 늪 거북 종류의 거북이들이 살고 있다.

거북이를 불법으로 거래하는 거북이 밀매도 줄어들지 않고 있다. 2005년부터 2015년까지, 살아있는 거북이 암수가 가장 많이 밀매된 곳은 동남아시아(50%)였다. 뒤이어 남아시아(23%), 유럽(10%), 중앙아시아(6%), 북아프리카 및 서아프리카(5%)였다.

거북이는 생태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동물이다. 해변이나 바다의 생태계를 돌아다니며 환경을 보호한다. 그런 거북이의 개체 수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거북이를 더 잘 이해하고 거북이의 개체 수를 보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저작권자 © 리서치페이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