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국립해양생물원자원관
사진=국립해양생물원자원관

세계 최초로 낙지가 지능이 높을 뿐만 아니라 사람에게 유익한 신경조절 물질을 체내에 지니고 있다는 사실을 국내 연구진이 발견하는 성과를 거뒀다. 이 신경조절 물질을 바탕으로 정신질환과 관련한 치료에 활용할 것이라고 밝혀 의료계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동북아시아 지역 해안에만 서식하고 있는 낙지는 다리가 8개인 문어와 친척 사이로 알려져 있다. 이렇게 8개의 다리를 가진 해양생물은 공통점이 있다. 엄청난 모성애와 고등한 뇌를 갖고 있어 지능이 높다는 점이다. 낙지가 두족류에 속하는 생물이기 때문에 높은 지능으로 주변의 움직임을 흉내 내기도 하고 8개의 다리로 섬세한 조종이 가능하다.
 
‘두족류’란 문어나 오징어처럼 머리에 다리가 붙어 있는 생물을 말한다. 사람의 두뇌에 비해 5000분의 1 크기지만, 무척추동물 중 뇌 크기 대비 가장 크다. 때문에 사고능력과 학습능력이 상대적으로 뛰어나다고 알려져 있다.
 
우리에게 보양식의 식재료로 알려져 있는 낙지는 간의 부담을 줄여주고 자양강장제 등에 사용되는 타우린 성분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다. 또한, 저칼로리에 콜레스테롤 억제, 빈혈 예방과 시력회복에도 도움을 주고 있어 지친 체력을 보충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
 
2014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포스트게놈 다 부처 유전체 사업’ 연구에서 최근 자양강장 성분 외에 다른 물질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이는 질병 치료에 효과가 있는 신경조절 물질을 발견한 것인데, 새로운 물질 발견에 많은 의료계의 이목이 집중되었다.
 
이번에 새롭게 발견된 신경조절 물질은 ‘세파로토신’과 ‘스펙신’으로 나뉜다. 이 2종 모두 신경계의 간접적인 기능 조절과 직접적인 신경전달 물질로 작용하는 펩타이드로 밝혀졌다.
 
세파로토신을 쥐에 투여했을 때, 뇌세포 내의 산소전달을 유도하고 인지 기능 및 감정과 관련된 행동을 조절해 주는 효과를 보였다. 또한, 쥐에게 스트레스를 주었을 때 나타나는 우울증 감소시켜주는 항스트레스 기능을 지녔다. 이는 세계 최초로 낙지의 신경조절 물질이 포유류 동물에게도 효능이 있다는 것을 발견한 것이다.
 
스펙신은 세파로토신과 비슷하지만 기능이 덜 알려진 펩타이드다. 공포와 불안, 식용 등의 뇌기능을 조절하는 효능으로 정신질환 관련한 치료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에 해양생물자원관은 “세파로토신은 이미 유전체 정보 분석이 끝났다”며 “세파로토신의 유전체 정보로 유사체를 인공적으로 합성해 다양한 종류의 신경조절 물질 개발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파로토신의 새로운 성능은 항이뇨 작용을 한다는 점이다. 항이뇨란 소변량을 감소시키는 작용으로 신장의 세뇨관에서 수분의 재흡수를 촉진시키는 작용에 의해 일어나게 된다, 이 같은 효과는 세파로토신이 항이뇨 작용과 연관된 성분을 활성화시켜 수분이 다시 몸속으로 흡수되는 것을 촉진해 소변을 억제하는 것이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항이뇨제는 혈압이 올라가는 등의 부작용을 갖고 있기 때문에 연구진은 세파로토신을 활용해 부작용이 적은 항이뇨제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저작권자 © 리서치페이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