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게티이미지뱅크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온실가스 감축에 실패해 기후변화가 악화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환경부 산하 국립생태원이 2015년부터 2020년까지 연구한 결과를 바탕으로 21세기 말 기후변화에 의한 우리나라 생물종과 서식지 등 피해 진단 및 예측 결과를 발표했다. 이 자료에 따르면, 수많은 동식물이 지구상에서 사라질 것으로 보인다.

생태계 교란 피해 극심

국립생태원은 기후변화가 우리나라 생태계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평가했다. 국내에 서식하는 야생동식물(5,700여 종), 내륙습지(2,500지역), 수생태계 담수지역(800), 갯벌(162)과 산림(6)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21세기 말까지 온실가스를 그대로 방치할 경우온실가스를 적극 감축할 경우의 두 가지 주요 시나리오를 적용해봤다. 첫 번째는 전 세계적으로 2017년 기준과 동일한 추세로 온실가스가 배출되어 1880년 대비 한반도 기온 상승이 평균 4.5이상이 될 경우를 말한다. 적극 감축하는 경우는 전 세계적으로 온실가스 감축 정책이 상당히 실현되어 1880년 대비 한반도 기온 상승이 평균 2.9정도로 제한될 경우를 말한다.

두 가지 시나리오에 대하여 생물종 부작용, 외래종·교란종에 의한 피해 등을 유형별로 비교·분석하자 온실가스 감축 없이 현재대로 배출될 경우 급격한 기온 상승에 적응하지 못하고 멸종될 수 있는 생물종은 약 5,700여 종 중 336종에 달했다. 6% 정도 수치다. 온실가스를 적극 감축하는 경우보다 5배나 많다. 주로 큰 피해를 이는 동물에는 구슬다슬기, 참재첩 등 서식지 이동이 쉽지 않은 저서무척추동물종이 대표적이었다.

기후변화로 인한 온도 상승은 습지나 수생태계에서 외래종에 의한 생태계 교란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온도상승은 아열대·열대 지방에서 유래된 뉴트리아, 큰입배스 등 외래종의 서식지가 확산될 수 있는 기후환경을 제공한다. 뉴트리아에 의한 피해 예상 내륙습지 수는 온실가스 적극 감축 시 32, 그렇지 않을 경우 120개로 생태계 교란 피해 차이가 4배에 달한다.

산지습지가 소멸된다

내륙 습지 또한 사라질 수 있다. 기후변화로 극한의 가뭄현상이 보다 자주 발생할 것으로 이는 내륙습지 소멸의 원인이 된다. 기도 한다. 온실가스를 적극 감축하면 내륙 습지 소멸은 22개에 그친다. 그렇지 않을 경우 657개가 소멸될 수 있다. 국내 총 2500여개 습지의 약 26%에 달한다. 내륙 습지 소멸 위험의 차이는 약 30배가 된다. 특히, 소멸 위험이 큰 습지는 무제치늪, 대암산 용늪 등과 같이 높은 지대에 위치해 물 공급이 제한적인 산지습지가 대부분이었다. 문제는 산지습지는 탄소 저장능력이 높아 소멸될 경우 탄소 배출이 더욱 가속화되는 결과를 초래한다는 것이다.

삶의 터전이 사라진다

기상청의 자료에 따르면 온실가스 배출이 현재 수준으로 유지되면 기온은 3.7도 상승하게 된다. 온실가스를 적극 감축하면 0.75도 상승에 그친다. 온실가스 배출을 현재 수준으로 유지하면 강수량은 5.9% 상승한다.

우리나라의 기후 변화 전망은 어떨까? 온실가스 배출이 현재 수준으로 이어지면 기온은 4.7도 상승 폭염 일수는 64.7일이나 늘어난다. 온실가스를 적극 감축할 경우 폭염 일수는 23.0일 늘어난다.

기후변화에 따른 이상 기후는 가뭄부터 홍수, 열대야, 폭설 등이 모두 해당된다. 기후변화에 의해 생태계는 몸살을 앓고 있다. 건조 기후가 늘어나면서 대형 산불이 자주 발생하고 폭우가 오는 탓에 많은 시민들이 피해를 입었다. 북극곰은 갈 곳을 잃었고 바닷속 산호는 급격히 감소했다. 수많은 동식물이 멸종위기에 처했다. 생태계의 건강 악화는 결국 인간의 서식지에도 영향을 준다. 기후변화의 위험성을 파악하고 탄소 배출 감축을 위해 적극 대처해야 한다.

 

저작권자 © 리서치페이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